IT, 인터넷 트렌드 속에서 전략, 인사이트 끄집어내기
by harris 이글루스 피플 2006 이글루스 TOP 100
카테고리
전체
멀티미디어
유비쿼터스
기술동향
시장동향
서비스전략
경영전략
나의스토리

최근 등록된 덧글
%<a href="http://www..
by Sahiba at 03/21
%<a href="http://de..
by Sahiba at 03/21
%<a href="http://ww..
by Sahiba at 03/21
<a href="http://wiki.i..
by Sahiba at 03/21
http://ja.wikipedia.or..
by Mike Ander at 03/19


[커머스 동향]
12_1118_commerce_harris.pdf

12년 11월에 만든 세미나 자료입니다. 

E-Commerce Situation and Trend
1. Market
2. Mobile
3. Social
4. Curation
5. Subscription
6. On-Off Mix
(by Harris Hwang)
by harris | 2013/01/28 18:29 | 시장동향 | 트랙백(82439) | 핑백(2) | 덧글(453)
[소셜 커머스 및 모바일 커머스 세미나 자료]
온라인 쇼핑몰 성공전략 컨퍼런스 2012
 - 12.07.06 / 한국과학기술회관

세미나 자료,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OK~.
  social_mobile_commerce_2012.pdf

(스토리 키워드 요약)
소셜 커머스 유형, 시장규모, 상품구매특성, Key Value, vs 홈쇼핑,
Localization, Subscription, Amazon, Facebook, Pinterest
모바일 커머스 환경변화, 시장규모, eBay, Apple Passbook, New Biz Matrix,

by harris | 2012/07/06 21:24 | 서비스전략 | 트랙백(3303) | 핑백(1) | 덧글(371)
[전자책 세미나 자료]
전자책, 무엇이 문제인가?
(전자책 전반에 대한 고찰과 활성화에 대한 아이데이션)

PlatformCamp 2012 발표자료
 - 12.06.23 / SK남산빌딩

세미나 자료,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OK~.
eBook_2012.pdf

(스토리 키워드 요약)
전자책 시장규모, 업계동향, 서비스경쟁, Amazon.com, 시장전망
전자책 핵심경쟁력, Value Chain, eBook vs Music, vs 웹툰
모바일 읽기경험, 미디어 접근 vs 컨텐츠 접근
by harris | 2012/06/22 15:59 | 서비스전략 | 트랙백(1346) | 핑백(3) | 덧글(403)
[스마트폰 성장과 모바일 커머스 동향]
지난주 금요일에 온라인 쇼핑몰 성공전략 컨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

주제는 스마트폰 성장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동향이며,
기조는 스마트폰의 성장은 필연적이고 그에 따른 모바일 커머스 성장 또한 필연적일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프리젠테이션 형태의 자료라 구체적인 설명들은 없지만 아카이빙 및 공유 차원에서 파일 올립니다.(아래 링크)

스마트폰 성장과 모바일 커머스 동향
by harris | 2010/07/16 10:39 | 서비스전략 | 트랙백(2652) | 덧글(1026)
[Google TV 동영상을 보고 ]
가칭 Smart TV라 불리우는 Google TV가 이슈가 되고 있다. 여기저기서 구글 TV에 대한 가능성과 잠재성에 대해 거론하고 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크롬 탑재, HTML5 적용 등 기술적인 이야기와 함께 Smart Phone과의 연동에 대한 이야기들도 있다.

우선 이런 일은 좋은 일이다.^^ 기존 정형화되어있고 통제되어 온 TV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을 저렇게 흔들어 놓을 수 있는 기업은... 저렇게 흔드는 걸 모티브로 삼고 있는 기업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 중 하나가 구글이기 때문에 좋은 일이다.(흔들수 있기 때문에^^)

다만 필요없는 걱정도 바로 튀어 나왔다. 여기저기 소개되고 있는 Indtoducing Google TV 동영상을 보자니 약 2년전에 봤던 오픈소셜(OpenSocial)과 그리고 약 1년전에 보았던 구글웨이브(Google Wave)가 생각나기 때문이다. 둘다 거창했지만 성공했다고 보기 힘든 구글로서는 큰 프로젝트들이다.



TV에 대한 본질적인 재접근과 웹과의 접목에 대한 컨셉은 구글의 자랑이자 훌륭한 접근방법이지만 동영상을 보자니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저렇게 해서 어쩔까, 또 너무 공학(?)적으로 접근하는게 아닐까? 이런 나만의 우려가 튀어나왔다.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좀더 튜닝하면 좋지 않을까, 구글 엔지니어 입장에선 저렇게 TV를 보고 싶은가 보구나 생각이 들었다.(그래도 구글에 대한 기대는 높다. 잘 나왔으면 좋겠다.^^)

덧, 얼마전 있었던 Google I/O 컨퍼런스에서 구글이 애플에 대한 경멸적인 언급에 대해 누군가는 이렇게 얘기했다. '구글의 저런 모습은 MS 전성기때 MS가 애플을 바라보던 시각과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하겠네.'라고.. 사업자는 누구나 자기 방식대로의 프레임을 만들고자 한다. 구글도 그런것이고 애플도 그렇고.. 다만 구글과 애플의 경쟁은 정체되어있던 모바일과 TV 산업에 활력을 넣어주었다는 점, 동인이 직접 되어주었다는 점이 의미있다고 본다.
by harris | 2010/05/24 16:04 | 시장동향 | 트랙백(442) | 덧글(316)
[포스퀘어, BM 개발 스타트]


어느덧 위치기반 SNS의 대주자가 된 포스퀘어(Foursquare)가 비즈니스모델 즉 수익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업체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나섰다.

Foursquare Makes it Easy for Businesses to Sign Up

대략 세가지로 요약되는데, 첫째, 업체들은 간단한 승인절차를 통해 인증을 받고 상점 정보를 기입/수정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는 자신의 상점에 들어오는 고객들의 데이터를 대쉬보드 형태로 볼 수 있게된다. 누가 많이 들어오는지 누가 새로 들어왔는지 누가 어떤 리뷰를 남겼는지 정리된 화면으로 볼 수 있다. 즉 CRM Tool을 제공받는 것이다. 마지막 세번째는 오프라인 상점에 붙일 수 있는 이뿌장한 배지형태의 스티커[상단 이미지]를 제공받는다.

위에 열거한 것들은 사실 새로운 것은 아니고 이미 맛집 정보 서비스의 대주자인 엘프(Yelp)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능들이다. 하지만 Foursquare로써는 당연히 있어야할 서비스를 추가한 것일 뿐.

Yelp가 블로그라고 하면 Foursquare는 마이크로블로그 즉 트위터에 가깝다. 좀더 가볍고 좀더 실시간에 가까운 서비스다. 가벼운게 지나쳐 팁(tips) 정보 없이 체크인만 하고 가는 경우가 다반사다. 포스퀘어가 성공하려면 이 부분을 앞으로 어떻게 풀지가 관건인것 같다.
by harris | 2010/04/23 08:44 | 시장동향 | 트랙백(3) | 덧글(378)
◀ 이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 ▶


외부 링크

이글루 파인더


rss

skin by harris